[뉴스초점] 동해안 사흘째 산불…"확산 차단 총력"<br /><br /><br />경북 울진 산불이 계속 확산하면서 사흘째 이어지고 있는 가운데, 산림 당국이 오늘 내 주불 진압을 목표로 내세웠습니다.<br /><br />울진 산불 현장 상황을 살피고 진화 전략을 세우신 문현철 한국산불학회 회장과 관련한 얘기 들어보겠습니다.<br /><br /> 오늘 오전까지 경북 울진 산불 현장 지휘소에서 상황을 직접 지켜보셨다고 들었습니다. 사흘째 산불이 이어지고 있는데 역대 산불 현장과 비교했을 때 이번 산불의 성격을 어떻게 평가하십니까?<br /><br /> 헬기 수십 대와 인력 4천명 이상이 투입돼 진화에 나서고 있습니다. 전날까지 태풍급 강풍이 불었지만 이제 강풍특보가 해제됐고 비교적 약한 바람이 불고 있어 진화가 한층 수월할 것이라는 얘기도 있던데요. 오늘 진화는 어디를 중점으로 진행되나요?<br /><br /> 산림청장은 오늘 안에 산불 전체를 진압하기는 사실상 불가능하다고 봤습니다. 대신 주불 진압의 오늘의 진화 목표로 내세웠는데요. 특히 울진읍과 울진 금강송 지역을 우선 진화 지역으로 정한 이유를 뭐라고 볼 수 있을까요?<br /><br /> 당국은 현재 서풍이 불고 있어 진화 환경이 좋았지만 오후에는 북풍으로 바뀌어 작업 환경이 나빠질 수 있다고 봤습니다. 바람의 방향에 따라서 진화 작업의 유·불리에 어떤 차이가 있는 건가요?<br /><br /> 주불 정리가 된다면 남은 건 잔불 관리일 겁니다. 비 예보는 앞으로 일주일 후에나 올 것으로 보이는데요. 잔불 확산을 막고 진화의 속도를 높이기 위해서 향후 어떤 계획을 세워야 한다고 보세요?<br /><br /> 현재까지 동해안 전체 산불 영향 구역이 만2천ha 이상이고 주민들도 6천명 넘게 대피했는데요. 조기 진화가 어렵게 된다면 피해 규모가 앞으로 더 늘 가능성도 있을까요?<br /><br /> 하루아침에 집은 물론 삶의 터전을 잃어버린 이재민들의 모습도 옆에서 지켜보셨을 텐데요. 문재인 대통령도 오늘 오전 울진 이재민 대피소를 찾기도 했죠. 산불을 피해 대피한 주민들에게 가장 필요한 건 뭐라고 보셨어요?<br /><br /> 울진 대형 산불의 최초 발화지로 추정된 곳은 보행로가 없는 왕복 2차선 도로 옆 배수로인 것으로 추정됩니다. CCTV 최초 발화 후 산 전체까지 불이 확산한 게 채 7분도 되지 않았는데요. 발화의 요인은 담뱃불이라는 얘기가 있던데 현장에서는 어떤 가능성들도 언급되고 있나요?<br /><br /> 해마다 이맘때쯤 동해안 지역에서는 양간지풍의 영향으로 산불에 취약한 모습이 많이 관측됐는데요. 이번에는 불이 나기 전 대지가 상당히 메말라 있었고 성인 남성이 제대로 서 있기 힘든 강풍까지 불어 대형 산불로 번졌다는 분석이 많습니다. 향후 산불 위험성을 줄일만한 근본적인 개선 방안은 없겠습니까?<br /><br />#동해안 #산불 #진화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